방금 전의 공시에 따르면, 엘앤에프가 SK이노베이션과 최대 1조6000억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엘앤에프 양극재로 만드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는 폭스바겐그룹의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MEB) 모델에 공급됩니다.
좋은 아침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상단에 소개한 공시와 관련된 기업인 SK이노베이션의 재무제표를 자세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SK이노베이션 주가 전망에 필수적인 투자지표들을 편리하게 제공하려 합니다.
지금 시각으로, 포스트 작성 시점에서 SK이노베이션의 가장 최신 재무제표를 반영하며, 장기적인 투자를 돕기 위해 9분기까지의 자료를 보기 쉽게 차트로 정리했습니다. 투자에 있어서 좋은 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SK이노베이션은 우량주 성향인 종목이므로 상기 키워드 정리를 참고하시어 본 포스트를 열람해주시면 좋습니다. 아울러 우량주는 주가의 테마 키워드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무제표를 폭넓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상단은 SK이노베이션의 분기별 손익계산서 차트이며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에 관한 지표입니다. 주식을 입문한 뒤로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3가지 지표를 상단에서는 합쳐 제시했고 하단에서는 개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영업이익 중에서 이러한 비용과 세금을 납부하면 회사가 실제로 순수하게 남긴 이익이 (당기)순이익입니다. 하지만 순이익을 산출하는 기준은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손익계산서 특징은, 매출액이 영업이익과 순이익에 비해 압도적으로 큽니다.
SK이노베이션의 분기별 매출액 차트입니다. 2018년 4분기에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습니다. 그러나 2020년 2분기에 급감했습니다. 그 뒤로는 횡보하는 양상입니다.
SK이노베이션의 분기별 영업이익 차트입니다. 2019년 2분기에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2020년 1분기에 최저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분기별 순이익 차트입니다. 2020년 1분기에 영업이익과 마찬가지로 최저 순이익을 달성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분기별 부채비율 차트입니다. 2019년 4분기부터 SK이노베이션의 부채비율은 점차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이후 2020년 2분기부터 부채비율은 정체합니다.
SK이노베이션의 분기별 이익률에 관한 차트입니다. 영업이익률과 자기자본이익률에 대해서 아래에 개별적으로 살펴볼까 합니다.
•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률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의 비중을 나타낸 수치로써 영업활동을 통해서 벌어들은 수익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통상적으로 영업이익률이 30-40% 이상이면 우량기업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률은 최근에는 5%를 넘지 않았으며 0%대에서 횡보 중입니다. 2020년 1분기에 최저점을 기록했습니다.
• SK이노베이션의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ROE)의 정의는,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당기순이익 값을 자본 값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ROE는 PER, PBR과 함께 회사 가치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3대 기준이기도 합니다.
SK이노베이션의 자기자본이익률은 영업이익률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상단은 SK이노베이션의 분기별 현금흐름 차트입니다. 주식투자에 있어서 현금흐름 자체를 분석할 때에 단순히 증가 및 감소로만 파악해서는 부족합니다. 우선적으로, 원인을 면밀히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주식투자에 있어서 현금흐름이 중요한 이유는 실적이 좋은 기업이라도 현금흐름이 악화되면 부도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영업CF)은 기업의 기본적인 수익을 위해 판매된 재화 혹은 용역 그리고 매입 및 관리 활동 등에서 발행되는 모든 현금의 유출과 유입을 의미합니다.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투자CF)은 유형자산의 처분과 매입,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및 회수 등에서 발생합니다.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재무CF)은 차입금의 차입 및 상환, 배당급 지급 등 자본거래나 타인자본을 이용할 때 발생합니다.
SK이노베이션의 최근 현금흐름을 총평하자면, 영업CF, 재무CF와는 다르게 투자CF는 대체적으로 좋지 않은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앞서 본 ROE 지표가 회사의 재정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라면 주당지표는 앞으로 위 회사에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주가 전망에 대체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지표이기도 합니다. 자료 간의 편차가 심하므로 아래에 개별적으로 소개했습니다.
주당순이익(EPS)은 회계연도의 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눈 지표입니다. EPS가 높을수록, 가진 자본으로 높은 수익을 올리는 기업으로 투자하기 좋은 기업으로 평가합니다.
주당순자산(BPS)은 기업의 자기자본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지표입니다. 기업의 주식 하나 당 얼마의 자본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SK이노베이션의 BPS 지표는 2019년 3분기 이후 하락 중입니다.
주당매출액(SPS)은 해당 연도에 발행한 매출액을 전체 발행 주식 수로 나눈 지표이며 주식 하나가 1년간 얼마만큼의 매출을 발생시키는가를 보여줍니다. SK이노베이션의 SPS 지표는 BPS 지표보다는 하락세가 덜 합니다.
SK이노베이션의 주당지표를 총평하자면, 3대 지표 전부 서서히 하락 중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이며 주가가 주당순이익과 비교해 몇 배 수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평가 가치를 판단합니다. SK이노베이션의 본 PER 지표는 누락이 많으므로 유의해주시길 바랍니다.
PBR은 기업이 가진 자산가치를 통해 계산되는 지표입니다. PBR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부동산, 현금 등 기업이 가진 모든 보유자산이 평가 대상으로 주로 이용됩니다. SK이노베이션의 PBR 지표는 2020년 1분기에 최저점을 기록한 뒤 상승 중입니다.
이상으로 포스트를 마칩니다. SK이노베이션의 주가 분석에 필수적인 재무제표를 면밀히 분석했으며 포스트 본문 내 지표를 면밀히 참고하시어 좋은 투자 결과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