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irCloud - 경제 금융 데이터 클라우드
배당투자/금융회사

하나금융지주 배당금 총정리

by 에어클라우드 2023. 1. 15.
반응형

최근 배당액이 급증해 주요 배당주로 주목받는 하나금융지주에 대한 기업소개를 우선 진행하려 합니다. 하나금융지주는 2005년 설립된 하나금융그룹 지주회사로서 자회사 지배 및 경영관리, 자금공여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배당주를 찾는 투자자들이 늘면서 하나금융지주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나금융그룹은 지주사인 동사를 중심으로 하나은행, 하나증권, 하나카드, 하나캐피탈, 하나생명, 하나손해보험을 비롯한 14개의 자회사와 전세계 25개국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룹통합멤버십인 '하나멤버스'를 금융권 최초로 개발했으며, 모바일 금융 앱 '하나원큐'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한번의 로그인만으로 가능하게 합니다.

반갑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하나금융지주의 재무제표를 자세하게 체크하며 이를 토대로 하나금융지주 배당 분석에 필수적인 투자지표들을 편리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주식 종목 분석과는 다르게, 배당과 주로 관련되는 항목인 회사의 자금 사정을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하나금융지주의 배당 성향을 요약하자면 위와 같습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지난 10년간 배당을 살펴보자면, 배당수익률은 높은 편이면서 동시에 배당은 꾸준하게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우선주를 제외하고 유니버스 기업 중 7위, 전체 19위의 배당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반응형

현재 포스트 작성 시점에서는 하나금융지주의 가장 최신 재무제표를 반영함과 동시에 장기적인 투자를 돕기 위해 최근 10년간 자료를 보기 쉽게 차트로 정리했습니다. 투자에 좋은 자료가 되셨으면 합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배당과 주가 차트입니다. 현금배당액과 주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금융지주는 대체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면 배당액도 상승했습니다. 증권사 자료에 따르면 2022년의 예상 배당액은 중간배당 800원과 결산배당 2400원을 합친 총합 3200원으로 예상됩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현금배당액 차트입니다. 올해 직전에는 차트 상에는 없지만 2022년에 최대 배당액을 달성했습니다. 2020년 이후 배당액은 폭증하고 있습니다. 2022년 중간배당액은 800원이며 8월에 지급됐습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배당수익률 차트입니다. 최근에는 2021년에 최대 배당수익률을 달성했습니다. 2017년 이후 배당수익률은 상승 추세네요.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유보율 차트입니다. 2021년에 최대의 유보율을 달성했습니다. 유보율이란, 기업의 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하며 사내에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유보율이 높을수록 불황과 같은 대외 변수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하며 동시에 안정성이 증가한다면 배당 여력 또한 증가하게 됩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CFPS 차트입니다. 최근에는 2019년에 최대의 CFPS를 기록했습니다. CFPS란, 영업활동으로 얻은 1주당 자금을 의미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기업의 자금 사정이 안정적입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순현금에 관한 차트입니다. 순현금은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에서 차입금을 제외한 수치를 의미합니다. 순차입금이 적고 순현금이 많으면 회사에 자금이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금융지주는 최근에는 2019년에 순현금 최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EPS에 관한 차트입니다. 주당순이익(EPS)은 회계연도의 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눈 지표이며 EPS가 높을수록, 가진 자본으로 높은 수익을 올리는 기업으로 투자하기 좋은 기업으로 평가받아요. 배당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참고할 만한 자료이죠.

하나금융지주의 연도별 BPS에 관한 차트입니다. 주당순자산(BPS)은 기업의 자기자본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지표이며 기업의 주식 하나 당 얼마의 자본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수이며 EPS와 더불어 배당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에 부가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배당락일과 배당기준일에 대해서

주식 매수를 통해 배당금 수령을 희망하시나요? 그렇다면 반드시 배당기준일 2일 이전에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배당기준일이 평일 기준으로 12월 31일이라면, 31일은 주식 폐장일이므로 최소한 30일까지 명부에 등록돼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12월 28일에 매수하셔야 2일 후 주주명부에 등록돼 배당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의 지난 배당 이력을 살펴보면 결산배당기준일은 항상 12월 31일이었으며 배당지급은 4월 중 실시했습니다.

포스트 집필을 마치며, 하나금융지주의 배당 분석에 필수적인 재무제표를 면밀히 분석했습니다. 포스트 본문 내 지표를 면밀히 참고하시어 좋은 투자 결과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